포럼뉴스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사회적기업이 만들어 낸 성과를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비례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사회성과인센티브 추진단은 1일 서울 종로에 있는 사회적기업인 허리우드 실버영화관에서 정부기관, 사회적기업 및 관련 연구기관, SK그룹 경영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성과인센티브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사회성과인센티브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0년 동안의 사회적기업 활동을 정리한 자신의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에서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SPC(Social Progress Credit)라는 개념을 제안한 데서 출발했다. SPC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와 연계해 금전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말한다.
사회성과인센티브 추진단이 이날 출범하면서 올해부터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고용?환경?복지?문화 등 각 분야의 사회적 성과가 구체적인 금액으로 계량화되고, 그 규모에 따라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추진단은 사회적기업 활성화 차원에서 사회성과인센티브의 필요성에 공감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투자, 사회적기업연구원, SK그룹 등이 참여해 만든 기구다. 추진단장은 프로젝트가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사회적기업계를 대표해 한국사회투자 이종수 대표와 SK그룹을 대표해 이문석 사회공헌위원장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추진단은 프로젝트 출범에 동참한 35개의 사회적기업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참여 기업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시행 1년뒤인 내년 4월에는 참여하는 사회적기업들의 성과를 평가해 사회성과를 보상할 계획이다.
이종수 추진단장은 "사회성과의 규모와 가치를 평가해 인센티브가 제공되면 이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 노력에 동기 부여가 되고, 다시 사회성과 창출에 재 투자되는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도 "정부와 민간기업 및 사회적기업계가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실현하는 모델이 나온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고군분투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공동 추진단장 외에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 김정열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대표, 프로젝트 참여 35개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사회적 협동조합 대표,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사회적기업들과 학생, 이병태 KAIST 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주요 경영진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성과인센티브 추진단은 1일 서울 종로에 있는 사회적기업인 허리우드 실버영화관에서 정부기관, 사회적기업 및 관련 연구기관, SK그룹 경영진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성과인센티브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사회성과인센티브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0년 동안의 사회적기업 활동을 정리한 자신의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 기업'에서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SPC(Social Progress Credit)라는 개념을 제안한 데서 출발했다. SPC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와 연계해 금전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말한다.
사회성과인센티브 추진단이 이날 출범하면서 올해부터는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고용?환경?복지?문화 등 각 분야의 사회적 성과가 구체적인 금액으로 계량화되고, 그 규모에 따라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추진단은 사회적기업 활성화 차원에서 사회성과인센티브의 필요성에 공감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투자, 사회적기업연구원, SK그룹 등이 참여해 만든 기구다. 추진단장은 프로젝트가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사회적기업계를 대표해 한국사회투자 이종수 대표와 SK그룹을 대표해 이문석 사회공헌위원장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추진단은 프로젝트 출범에 동참한 35개의 사회적기업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참여 기업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시행 1년뒤인 내년 4월에는 참여하는 사회적기업들의 성과를 평가해 사회성과를 보상할 계획이다.
이종수 추진단장은 "사회성과의 규모와 가치를 평가해 인센티브가 제공되면 이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 노력에 동기 부여가 되고, 다시 사회성과 창출에 재 투자되는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도 "정부와 민간기업 및 사회적기업계가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실현하는 모델이 나온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고군분투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공동 추진단장 외에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 김재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 김정열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대표, 프로젝트 참여 35개 사회적기업 및 소셜벤처, 사회적 협동조합 대표,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사회적기업들과 학생, 이병태 KAIST 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주요 경영진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